요즘은 빅데이터와 지도 사이트가 너무 잘 되어 있어서 현장 임장 전에 필요한 정보의 대부분을 일명 손품을 통해 인터넷에서 파악할 수 있다.
손품의 기본은 뭐니뭐니해도 지도이다.
나는 시간절약을 위해 현장을 가기전에 카카오 맵과 네이버 맵 두개를 모두 사용하며 입지를 우선 파악한다.
지도만 잘 활용해도 내가 관심있는 지역의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변화를 볼 수 있고, 상권 분석 등 대부분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네이버와 카카오맵 모두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기에 오늘은 카카오맵을 기준으로 내가 현장 임장 전 손품팔기에 사용하는 기능을 소개하고자 한다.

오른쪽 위에 "레이어"라는 곳을 클릭하면 다음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하나씩 클릭해보며 각각의 기능을 쉽게 이해할수 있다. 그 중에서 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지형도", "지적편집도","법정경계"이다.
지형도로 경사도 파악

색깔이 진할수록 고도가 높다고 생각하면 된다. 해당 부동산의 위치가 오르막길에 위치하는지 대략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현장에서 재확인이 중요하다.
지적편집도로 토지 용도와 중심지 파악

개별토지의 정확한 용도지역은 토지e음을 통해서 파악해야 하지만. 카카오맵의 지적편지도 기능을 통해서 상업시설, 주거 시설 등의 배치를 파악할 수 있어 아주 유용하다. 특히 도시 중심지가 어디인지, 오피스텔이 어디에 배치되어 있는지, 공장은 어디에 있는지를 한눈에 볼수 있어 상가와 토지의 입지 분석등에 아주 유용하다.
법정경계로 법정동 파악
법정경계 기능을 사용하면 구 단위 이하의 법정동의 배치를 파악할 수 있다. 서울과 같이 아주 많은 구와 동이 섞인 지역에서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는 기능이다.


상가 위치로 동선 및 상권 파악하기
왼쪽 위에 보면 주변이라는 항목이 있는데, 여기를 클릭하면

주변 시설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내가 주로 사용하는 기능은 "주변 > 음식점 > 전체"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붉은색으로 식당 위치를 표시해준다.

물론 현장에서 확인을 해봐야겠지만, 이 빨간 점들(식당)을 따라서 상권이 발달해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주요 동선들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만약 편의점 창업을 고려하고 있다면, 편의점을 클릭하여 위치를 파악한다.

편의점의 경우, 동일 프랜차이저를 오픈하거나 담배 영업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 편의점과의 일정 거리 이상을 두도록 제한하고 있어, 기존의 편의점 위치 파악이 상당히 중요하다.
로드뷰로 상권 및 상가의 변화 파악하기
다음으로 가장 많이 쓰는 기능인 로드뷰기능이다.
지도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카메라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파란색 실선이 표기되고

이 중 내가 원하는 곳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로드뷰를 보여준다

왼쪽 상단에 보면 장소와 시간이 나와있는데, 여기를 클릭해보면 같은 지점의 과거 로드뷰를 볼 수 있다.
아래 사진을 보면 왼쪽은 2008년, 오른쪽은 2021년 사진이다.

시간대를 달리하면서 살펴보면 해당 상가가 영업이 잘되는 입지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스카이뷰로 아파트 될 지역 찾기

오늘쪽 상단의 "지도"옆의 스카이뷰를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전환된다.

스카이뷰를 클릭하면 과거 시점의 사진을 볼 수 있다.
다음은 고덕신도시의 현재 위성사진이다.

그리고 다음은 2008년 사진으로 고덕신도시 개발 전 사진이다. 과거와 현재의 스카이뷰 사진을 비교하다보면 향후 아파트로 개발될 녹지 지역을 찾을 수 있다.

지금까지 카카오맵 100% 활용하기에 대한 정보였다.
질문이 있으면 쪽지로~
'二木) Money Ga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은 하락장? (0) | 2022.10.05 |
---|---|
세대수 변화가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0) | 2022.10.04 |
빅데이터로 보는 22년 하반기 서울 부동산 시장 (0) | 2022.10.04 |
22년 하반기 미분양 관리지역 살펴보기! (0) | 2022.10.03 |
빅데이터 분석- 학군 찾기 (0) | 2022.10.03 |